주요알림

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.

알림건수 : 총 0

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

광양읍

  • 글자크기

광양(光陽)지명유래

  • 광양(光陽)고을 이름은 서기 940년(고려태조 23)에 희양현(晞陽縣: 삼국사기, 고려사, 세종실록지리지 등 주요문헌에 기록된 지명)을 광양현(光陽縣)으로 고친 이래 지금까지 1,060여 년간 "광양(光陽)" 지명을 사용하여 오고 있음.
  • "光陽" 을 한문의 훈(訓: 뜻풀이)으로 각각 살피면 "光"은 ①빛 광 ②빛날 광 ③클 광 등으로 뜻풀이되며, "陽" 은 ①양기 양 ②볕 양 ③해 양·태양 양 ④양지양 ⑤남쪽 양·북쪽 양 ⑥밝을양·맑을 양 등으로 뜻풀이됨
  • 광양읍"지역은 유사이래부터 마로현(馬老縣)→희양현(晞陽縣)→광양현(光陽縣)→광양군(光陽郡)→광양시(光陽市)가 될 때까지 광양고을의 중심지역으로 역대 현감(고려시대에는 감무)·군수를 비롯하여 각급관청이 위치하여 광양을 다스렸던 지역으로 고을이름이 마로(馬老)→희양(晞陽)→광양(光陽)으로 개칭되어 왔음

광양읍연혁

광양읍 소개안내로 연대,내용, 전거에 대해 나타낸 표이다.
年代 內 容 典 據
청동기시대 · 광양읍 지역에서 구석기, 신석기시대의 유적이 발견되지 않고 있으나 인근 봉강면 석사리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인 돌석기(사냥도구)가 발견되 고 있어 광양읍 지역도 앞으로 구석기, 신석기 유물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음
· 청동기시대 유물로는 그당시 시체를 매장하 였던 지석묘, 생활도구인 무문토기편, 마제석 촉, 석검, 생활의 흔적인 패총더미 등이 발견 되고 있어 청동기시대에 이고장의 여러지역 에서 사람이 살았음
· 광양읍 덕례리 예구, 회암마을 : 지석묘, 마제석촉, 패총, 화살촉, 무문토기, 석검등
· 광양읍 용강리 기두, 관동, 와룡마을 :지석묘, 석곽묘등 다수
· 광양읍 세풍리 해창유자섬 : 점토대토기, 무문토기등 · 기타 여러곳에서 청동기시대 유적ㆍ유물출토
· 전남고고학지명표 (최몽룡, 1975)
·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보고서 (순천대박물관, 2000.3)
· 문화유적 분포지도 (순천대박물관, 2000.2)
· 문화유적 분포지도 (순천대박물관, 2000.2)
초기철기시대 · 광양읍 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 발굴조 사에서 초기 철기시대 유물인 철기류와 토광 묘가 발굴됨.
· 이시대는 주로 돌도끼, 괭이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로 땅을 개간하여 곡식을 심었으며 저 습지에서 벼농사가 시작됨.
· 또한 집자리는 대부분 나즈막한 야산을 뒤에 두고 앞에 시냇물이 흐르는 곳에 식수원인 우 물을 중심으로 모여 살았음.
·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요약보고서 (순천대박물관, 2000.3)
·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(上) p23
·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(上) p24
삼한시대 · 광양읍지역이 삼한시대에 마한 또는 변한지역 이거나 그당시 어느지역에도 속하지 않는 완충지역 일수있음. ('83광양군지)
· 근년에는 광양읍이 변한지역 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음.
· 광양군지 p169(1983년)
· 가야연맹사 (p165, 김태식저, 2000년)
· 2001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(상) p32
369∼370
(근초24-25년) 346∼374
(근초고왕대)
5세기말
513
(무령왕13년)
(BC18년 : 백제건국)
·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
· 백제시대 마로현(馬老縣)지역임
· 성산가야(星山伽倻)에 일시소속
· 백제에 다시 속함
· 광양군지 p168(1983)
· 「일본서기」신공기49년조,50년조
· 광양군지 p356(1983)
· 광양군지 p172(1983)
· 「일본서기」계체왕7년조
· 광양군지 p172-173(1983)
· 「일본서기」계체왕7년조
538
(성왕16년)
· 백제의 5방중 남방(南方:久知下城,현재求禮郡) 의 · 平郡(삽평군, 현재順天市)에속한 마로현 (馬老縣)지역임 · 삼국사기지리지(1145)
663
(신라문무3년)
676
(문무왕16년)
687
(신문왕7년)
(660년 : 백제멸망) · 나ㆍ당(羅ㆍ唐)의 지배하에 들어감
· 신라의 삼국통일로 신라에 속함
· 통일신라시대 9주 5소경 설치로 광양읍은 무진주(武珍州 : 현재光州直轄市)의· 平郡(삽 평군:현재 順天市)에 속한 마로현(馬老縣) 지역임.
· 광양군지 p174(1983)
· 광양군지 p174(1983)
· 삼국사기(1145)
757
(경덕왕16)
·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(馬老縣)을 희양현(晞陽縣)으로 개칭함에 따라 광양읍은 희양현 지역이 됨.
※晞를 曦(희)라고도 씀
· 삼국사기(1145)
· 세종실록지리지(1454)
· 신증동국여지승람(1530) ※삼국사절요(1476)
· 광양군지(1925)
892
(진성여왕6년)
· 후백제 견훤(甄萱)의 휘하에 들어감 (918년 : 고려건국) · 전라남도지제10권(1993)
· 지방연혁연구p274(1988)
936
(후백제 신검1년
· 고려에 속함 · 고려사 제57권(1451)
· 지방연혁연구p274(1988)
· 전라남도지제10권(1993)
(고려 또는 그이전) · 고려 또는 그이전 지방행정 편제 〈 광 양 현 〉
· 지역촌
· 향(2개소), 소(14개소), 부곡(4개소) 〈 광양읍 지역 〉
· 지역촌
· 향(1개소), 부곡(1개소) ※향ㆍ부곡 현재의 위치
· 本 亭 鄕 : 광양읍 사곡리 본정마을
· 沙於谷部曲 : 광양읍 사곡리
· 세종실록지리지(1454)
· 신증동국여지승람(1530)
· 지방연혁연구p275(1988)
· 광양군지 p345(1983)
940
(고려태조 23년)
· 희양현(晞陽縣)을 광양현(光陽縣)으로 개칭 (改稱) 하여 승평군(昇平郡 : 현재순천시)의 영현(領縣)으로 함에따라 광양현 지역이 됨
· 고려사 제57권(1454)
· 지방연혁연구p274(1988)
· 전라남도지제10권(1993)
· 광양군지 p356(1983)
1172
(명종2년)
· 광양현이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(監務)를 두고 승평군(昇平郡)에서 분리되어 광양읍 지역에 최초로 중앙행정관리가 부임하게 됨 · 명종2년(1172년)으로 추정 ※광양군지는 예종3년, 1108년에 감무를 둔것 으로 기록함 · 대동지지 광양연현조 (김정호저, 1864)
· 지방연혁연구p274(1988)
※광양군지p347(1983)
1413 (1392년 : 조선건국)
· 광양현의 감무(監務)를고쳐 현감(縣監:종6품) 으로 함에따라 광양읍에 처음으로 현감이 부임함.
· 세종실록지리지(1454)
· 신증동국여지승람(1530)
· 광양군지 p211(1983)
· 지방연혁연구p275(1988)
1597
(선조30년)
(1592년 : 임진왜란)
·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이 함락됨으로서 광양읍 지역이 왜구의 점령하에 들어감
· 대동지지 광양현 典古條 (金正浩編, 1864년)
1597.12
(선조30년)
· 광양읍에 위치한 광양읍성 탈환, 왜병의 만행봉쇄 · 아군측 : 전라병사 이광악, 구례현감 이응서 · 적군측 : 왜교성 수장 소서행장 · 임진전란사 p723 p1063∼1065, p1083∼1085
· 선조실록(1609)
· 난중집록권3, 정유12월조
· 광양군지 p241(1983)
1598
(선조31년)
· 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. 광양현이 순천도호부 진영에 일시 편입됨으로서 광양읍이 순천도 호부에 소속됨 (곧 광양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미상) · 신증동국여지승람(1530)
· 전라남도지제10권(1993)
· 지방연혁연구(1988)
1660
(현종원년)
· 광양읍 객사(客舍)에 있던 광양현 전비 (「殿」자를 새겨 임금을 상징하는 나무패)를 잃어버려 읍이 혁파됨
· 현종실록(1677)
· 전라남도지(1993)
· 지방연혁연구p275(1988)
· 광양군지(1925)
1664
(현종5년)
· 광양현으로 복구됨
· 광양군지(1925)
1759
(영조35년)
· 광양현이 12面을 관할
· 面名 및 面別 戶口, 남ㆍ녀 인구수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.
· 1759년 광양읍지역
· 沙羅谷面 : 253호, 남397명, 여469명 · 七 星 面 : 72호, 남138명, 여150명
· 仁 德 面 : 337호, 남514명, 여800명 · 牛 藏 面 : 362호, 남661명, 여691명 ※面의 長을 권농관(勸農官)이라함
· 여지도서(下권) 광양현 -순천진관 방리조 p761 (1759)
1789
(정조13년)
· 광양현이 12面, 147마을(村)을 관할함
· 면수는 1759년과 같으며 沙羅谷面→沙谷面, 骨若面→七骨若面으로 표기함 · 마을(村) 이름이 최초로 문헌상 기록됨 · 面→勸農官, 里→里正, 村→村正, 村長이라함
· 1789년 광양읍지역 면별 인구, 마을현황
· 沙谷面(7村)
· 263호, 1084명(남498, 여586)
· 草南浦村, 益申村, 江亭村, 本井村, 栢洞村, 杜谷村, 竹谷村
· 七星面(9村) · 60호, 306명(남143, 여163)
· 里名이 기록되지 않음. 통계상9리가 있었던 것 같음
· 牛藏面(12村) · 371호 1,762명(남759 여1,003)
· 月波村, 內牛藏村, 校村, 山底村, 城北村, 東門外村, 果木村, 開城村, 城隍村, 木果村, 外井村, 城內村 ※당시 광양읍의 중심지는 牛藏面 城內村임
·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 광양조(1789)
· 지방연혁연구(1988)
· 마을유래지 p38(1988)
1789
(정조13년)
· 仁德面(12村)
· 421호 1,965명(남875, 여1,090)
· 南門外村, 屯村, 坪村, 觀農村, 海倉村, 中閭村, 道溪村, 細繩村, 新豊村, 舞仙村, 東池浦村, 德山村
1869
(고종6년)
·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읍호(邑號) 가 강등됨
· 사건발생 및 항쟁지가 광양읍 지역임
· 철종실록,비변사등록,임술록
· 일성록, 승정원일기
· 광양군지 p268∼272(1983)
1872
(고종9년)
· 면단위 아래 里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상기록됨 〈 광양읍 지역 〉 · 牛藏面(12개) · 月波里, 龜洞里, 木果里, 內牛里, 校村, 城北里, 城內里, 城隍里, 開城里, 果木里, 東外里, 城外里 · 仁德面(12개) · 南外里, 德山里, 中峴里, 中閭里, 舞仙里, 細升里, 東池里, 朱令里, 道淸里, 海倉里, 坪村, 內閭里 · 七星面(4개) · 城北里, 馬山里, 西外里, 新基里 · 沙谷面(10개) · 大杜里, 小杜里, 竹谷里, 本井里, 桶井里, 林洞里, 蹄飛里, 益申里, 機頭里, 草南里 · 광양현지도 (서울대학교, 규장각소장 : 1872)
1889
(고종26년)
(1876 : 강화도 조약)
·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
· 사건발생 및 항쟁지가 광양읍이 중심지역임
· 일성록 동년9월17일조
· 비변사등록 제270책
· 광양군지 p272(1983)
1894
(고종31년)
(1894년 : 갑오개혁 시작)
·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
· 섬거역 : 29명 학살(12.10) · 각 면 : 130여명포살(12.8∼12.11)· 광양읍 출신 : 39명 포살 · 남문(聽潮樓)이 좌수영 수병(水兵)의 방화로 소실
· 규장각소장 잡책철 NO1970 「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」
· 광양군지 p284∼285(1983)
1895. 5.1
(윤달)
(고종32년)
·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. 광양현 (光陽縣)을 광양군(光陽郡)으로 개칭함으로서 광양읍은 남원부(관찰사)관할 광양군(군수) 지역이 됨
· 광양읍 지역
· 광양군 우장면
· 광양군 칠성면
· 광양군 사곡면
· 광양군 인덕면
· 칙령제98호(1895.5.26)
· 광양군지 p348(1983)
1896. 8.4
(건양1년)
·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실시됨에 따라 全羅南道 光陽郡지역이 됨

· 인덕면(현, 광양읍지역)덕례리 일부가 승주군 (현, 순천시지역)해룡면에 편입
(1905 : 을사보호조약체결) (1910 : 한일합방)

· 칙령제36호(1896.6.25)
· 광양군지 p349(1983)
· 전남도지 제10권 p100
· 광양군지 p349(1983)
· 광양시통계연보p35(2000)
1912 ·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광양읍 지역 面이름 과 관할里
· 광양읍 : 4個面 54個里
· 군 청 : 牛藏面 城內里
· 牛藏面 : 12個里
· 月波里, 內牛里, 校村里, 山底里, 城北里,
·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(1912)
· 마을유래지 p39(1988)
  東外里, 城隍里, 果木里, 開城里, 木果里, 城內里, 新興里
· 仁德面 : 15個里
· 仁東里, 道淸里, 月坪里, 中閭里, 鳳井里, 海倉里, 世承里, 新豊里, 東池里, 朱令里, 舞仙里, 禮口里, 德山里, 回岩里, 仁西里
· 七星面 : 5個里
· 西外里, 星北里, 新基里, 堂村里, 馬山里
· 沙谷面 : 22個里
· 草南里, 縣月里, 佳庄里, 益申里, 外洞里, 江亭里, 本亭里, 億萬里, 桶泉里, 柏洞里, 大杜里, 小杜里, 林洞里, 新基里, 織洞里, 虎岩里, 竹谷里, 檢丹里, 臥龍里, 冠洞里, 機頭里
1914. 3.1 · 順天郡 龍頭面 智峰里 일부를 光陽郡 仁德面 德禮里에 편입. 順天郡 龍頭面 山頭里ㆍ鳳栖里 의 각일부를 光陽郡 仁德面, 世豊里에 편입
· 光陽郡 仁德面 東池里 일부가 順天郡 海龍面 福星里에 편입
· 총독부 부령제111호 (1913.12.29) 「도의위치, 관할구역 및 부군명칭, 위치관할구역」
1914. 4.1 · 왜정시대 행정개편이후 광양읍 지역 각면과 관할 리 ① 광양읍 지역 행정개편내용
· 牛藏面, 七星面, 紗谷面이 통합하여 光陽面이 됨
· 4개면→2개면, 54개리→15개리 ② 各面과 관할里
· 光陽面 : 10個里 · 龜山里 : 七星面 新基里, 堂村里, 馬山里, 西外里 各一部
· 七星里 : 七星面 星北里, 西外里, 馬山里, 牛藏面 山底里, 仁德面 仁西里 各一部
· 邑內里 : 牛藏面 城內里, 東外里, 果木里, 新興里, 仁德面 仁西里 各一部
· 총독부 부령제111호 (1913.12.29)
· 조선면리동일람(1917)
· 전라남도지(1993)
· 지방연혁연구(1988)
· 木城里 : 牛藏面 木果里, 開城里, 城隍里
· 牛山里 : 牛藏面 月波里, 內牛里, 松村里, 山底里 一部
· 龍江里 : 紗谷面 臥龍里, 冠洞里, 檢丹里, 江亭里, 機頭里 一部
· 益申里 : 紗谷面 益申里, 佳庄里, 外洞里
· 草南里 : 紗谷面 草南里, 懸月里
· 紗谷里 : 紗谷面 本亭里, 億萬里, 蹄飛里, 桶泉里
· 竹林里 : 紗谷面 虎岩里, 竹谷里, 林洞里, 大杜里, 小杜里, 栢洞里, 織洞里, 浣溪里, 骨若面 中陽里 一部
· 仁德面 : 5個里
· 仁西里 : 仁德面 仁西里, 牛藏面 新興里一部
· 仁東里 : 仁德面 仁東里, 道淸里 一部
· 道月里 : 仁德面 月坪里, 道淸里 一部
· 德禮里 : 仁德面 回岩里, 禮求里, 德山里, 舞仙里, 朱令里, 東池里, 順天郡 龍頭面 智峰里 일부
· 世豊里 : 仁德面 海倉里, 世承里, 鳳井里, 中閭里, 新豊里, 橋島 順天郡 龍頭面 山頭里ㆍ鳳栖里 각일부
1925. 4.1 · 仁德面이 光陽面에 편입됨 (光陽郡 - 8面 管轄) (1945.8.15 : 해방) (1948.10.19 : 14연대 반란사건) · 광양군지(1983)
· 지방행정구역요람 p605 (내무부, 1980)
· 지방연혁연구(1988)
· 전라남도지제10권(1993)
1949. 8.14 · 光陽面이 光陽邑으로 승격 (光陽郡 - 1邑7面 관할)
(1950년 : 6.25동란 반발)
· 대통령령 제162호 (1949.8.13)
· 전라남도지제10권(1993)
· 광양군지(1983)
· 지방연혁연구(1988)
1983. 2.15 · 옥룡면 雲谷里 일부(桂谷마을)를 광양읍 牛山里에 편입됨 · 대통령령 제11027호 (1983.1.10)
1987. 1.1 · 승주군 해룡면 福星里 일부(朱領마을)가 광양읍 德禮里 朱領마을에 편입
· 봉강면 지곡리 일부(普雲마을과 牛頭마을 일부)가 광양읍 구산리 新基마을에 편입
· 대통령령 제12007호 (1983.1.10)
· 지방연혁연구(1988)
1987. 1.1 · 1987.1.1 기준 광양읍 행정구역일람
· 광양읍 : 15법정리 46행정리 59자연마을 151반 인구35,457인
· 소재지 : 광양읍 읍내리 273
· 광양군 통계연보 p39 (1988)
· 광양군 마을유래지 p40 (1988)
· 지방연혁연구p281∼282 (1988)
1995. 1.1~ 현재 ·동광양시·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복합형태의 光陽市 설치로 光陽市 光陽邑 이 됨 법률제4810호(1994.12.22.) 「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에 따른 행정특례 등에 관한 법률」

콘텐츠 만족도 조사

콘텐츠 만족도 조사

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?

0/100

담당자 정보

  • 담당부서 총무과
  • 연락처061-797-4904
  • 최종수정일 2024년 02월 20일
공공누리의 제 4유형[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] : 출처표시,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,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

광양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

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.